Linux/Unix 유닉스 타임(Unix Time)
2014.04.12 02:47
프로그램 관련 서적이나 메뉴얼등을 보다보면 날짜나 시간을 유닉스 타임으로 기록했다는 표현을 볼 수 있다.
실제 값은 1397236159 식의 알 수 없는 엄청 큰 숫자가 적혀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.
유닉스타임이란 유닉스에서 사용한 시간의 표현방법으로 1970년 1월 1일 1시부터 지나온 초를 카운팅한 값을 의미한다.
유닉스를 C로 만들었기 때문에서 표준 C언어의 time_t 데이터 형이 저장하는 시간 개념과도 같다.
즉 1970년 1월 1일 0시는 유닉스 타임 0 이고
1970년 1월 1일 1시는 유닉스 타임 3600 이다.
참고로 다음 사이트에 가면 유닉스 타임을 변환해 볼 수 있다.
http://www.4webhelp.net/us/timestamp.php
http://www.onlineconversion.com/unix_time.htm
Linux의 date 명령으로도 계산이 가능한데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.
* Unix Time 을 일반 날짜로 변환
date -d '1970-01-01 1397237119 sec'
* Unix Time을 지정된 형태의 날짜로 변환
date -d '1970-01-01 1397237119 sec' +'%Y-%m-%d %H:%M:%S'
* 일반 날짜를 Unix Time으로 변환
date -d '2014-04-11 17:25:19' +%s
* 현재 시간의 Unix Time알아내기
date +%s
뭐 이건 그렇고 C언어의 time_t 데이터 형이 32비트 부호있는 정수여서 이값의 최대값은 2147483647으로 이를 일반 날짜로 변환하면 2038-01-19 03:14:07 이 된다.
이 의미는 C언어로 구현된 시간은 2038년 1월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.
옛날 2000년도가 시작되면 밀레니엄 버그다 라면 온 세상이 떠들썩 했는데 2038년이되면 어찌될지 모르겠다.
뭐 머리 좋은 사람들이 그 사이에 또 해결하겠다고 하겠지만... 암튼 그렇다는 거다.
댓글 0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30 |
각종 프로세스 관련 ID 알아보기
![]() | 푸우 | 2013.11.25 | 20338 |
29 |
콘솔프로그램을 윈도우즈 서비스에 등록하기
![]() | 푸우 | 2013.11.25 | 19893 |
» | 유닉스 타임(Unix Time) | 푸우 | 2014.04.12 | 18387 |
27 | tar 분할 압축 및 해제 | 푸우 | 2013.12.28 | 17780 |
26 |
윈도우즈 비스타 버전별 특징정리
![]() | 푸우 | 2013.12.28 | 17742 |
25 | 32 Bit 프로그램을 돌리기위한 조치 | 푸우 | 2013.12.10 | 17243 |
24 | IF 명령어 | 푸우 | 2014.08.27 | 16759 |
23 |
PXE 네트웍 부팅으로 OS 설치하기[미완성]
![]() | 푸우 | 2013.11.25 | 15611 |
22 |
Windows 메모리 한계 및 해결 방법
![]() | 푸우 | 2013.12.28 | 15518 |
21 |
Mac과 Windows간의 원격제어
![]() | 푸우 | 2013.12.28 | 15285 |
20 | AIX에서 파일 시스템 다루기 | 푸우 | 2013.12.28 | 14671 |
19 | SET 명령어 | 푸우 | 2014.08.26 | 14542 |
18 | vsftpd.conf 파일의 이해 | 푸우 | 2013.12.22 | 13981 |
17 | AIX 5.2 libm.a 파일 설치 | 푸우 | 2013.12.28 | 13485 |
16 |
SELinux 메뉴얼
![]() | 푸우 | 2013.12.28 | 13454 |
15 | 윈도우 기반 NFS 서버/클라이언트 구축(3) | 푸우 | 2013.12.28 | 13217 |
14 | Installing SUBVERSION for AIX5.3 | 푸우 | 2013.12.28 | 13187 |
13 |
AIX 설치시 참조할 문서들
![]() | 푸우 | 2013.12.28 | 12815 |
12 | ECHO 명령어 | 푸우 | 2014.08.26 | 12664 |
11 | 윈도우 기반 NFS 서버/클라이언트 구축(1) | 푸우 | 2013.12.28 | 12446 |